블로그 이미지
Sunny's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09. 6. 8. 15:21 ETC
XSLT를 사용하여 오픈오피스의 편집기능 확장하기

오픈오피스가 무엇인지는 다들 알 것이다. (모르시는 분들은 살짝 검색을 -ㅁ-)
무엇이든지 오픈되어 있다는 것은 입맛대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진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XML로 저장된 데이터로 워드 프로세싱 문서를 만들기 위해 필터를 만들 수 있다.
이번 Article은 튜토리얼(Tutorial)로 이루어져 있어 난이도는 중급에 속하나,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

오픈 오피스에는 가져오기/내보내기(Import/Export)필터 기능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사용하여 일반 문서인 XML데이터를 열 수 있는 방법을 다룬다.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들은 더욱 자연스럽게 문서를 편집하고,
이를 네이티브 포맷으로 다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특징을 사용하여 문서를 XML데이터로 쉽게 변경이 가능해 진다.

XML 파일 포맷의 구문에 익숙하고 XSLT(XML Style Language Transformations)를 조금 다루어 본 사람이라면 오픈오피스를 XML 기반 데이터를 위한 맞춤 편집기로 사용할 때 그 발전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XSLT필터 파일과 함께 작동하여 플러그인에서 XML형식으로 된 어떤 데이터라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데이터를 기계가 처리하기 좋은 XML로 저장하면서 이를 사람에게 편한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자는 쉬운 검색, 의미 맥락(semantic context)과 정보 찾아오기를 가능케 하고 후자는 더 높은 수준의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효율적인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먼저 XSLT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자 (Article에서는 XSLT를 알고 있다는 전제를 하고 있으므로)

XSLT는 XML문서에 XSLT를 적용하여 또다른 XML, HTML, TXT등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기술한 표준 방법이다. 확장 스타일시트 언어(XSL)의 확장으로서 XML문서가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재구성되는 방법이라고 간단히 보면 된다. 자세한 내용을 일일이 열거하기에는 어렵고 XSL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은 아래 링크에서 간단히 학습을 하면 이번 튜토리얼을 따라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IBM XSLT 입문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tutorial/x-xsltopenoff/section3.html
Lecture #1 : http://cafe.naver.com/javalove/217
Lecture #2 : http://cafe.naver.com/javalove/218
Lecture #3 : http://cafe.naver.com/javalove/219
Lecture #4 : http://cafe.naver.com/javalove/220

이제 XSL이 무엇인지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이번 튜토리얼을 따라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이 필요하다.
오픈오피스 2.0(+), 이번 예제에는 2.2를 사용한다. 리눅스 용, 윈도우 용 모두 상관없다.
XML편집기는 XML과 XSLT파일을 편집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적인 Text Editor라면 상관없다 유닉스에서는 vim.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 개요
  • XSLT입문
  • 가져오기 필터
  • 내보내기 필터와 다른 포맷으로 내보내기
  • 요약
  • 다운로드
  • 참고자료
  • 필자소개

튜토리얼이 자세하게 나와 있어(XSL에 대한 부분이 조금 약하긴 하지만), 1시간만에 튜토리얼을 따라할 수 있었다. XML의 모든 장점을 가지면서도 리치 텍스트 편집을 쉽게 가능하게 해 준다.
XML을 사랑하고 오픈오피스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꿈꿔본 일이 아닐까.
또한, XSLT를 사용하면 편집된 문서를 어떻게 XML이 아닌 포맷으로 내보낼 수 있는지도 설명되어 있다.
XML이라는 것을 가장 처음 접했을 때가 00년도였다. 7년이 지난 지금 XML의 중요성은 날이갈 수록 증대되고 있는데 웹의 발전과 더불어 XML은 의외로 많은 것들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이전에 리뷰했던 VXML또한 그것의 일부가 아닐까?

다음 링크를 클릭하고, 커피 한잔, 그리고 비스켓을 씹으면서 따라해 보자-
링크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tutorial/x-xsltopenoff/index.html

posted by Sunny's
2009. 6. 4. 10:03 ETC
2009. 3. 30. 11:36 ETC

[인터넷 실시간 방송]

 

* Microsoft 의 미디어인코더를 이용한 Live broadcast 인터넷방송 방법을 적어 보겠습니다.

 

*응용사례 :  1. 웹캠을 이용한 원격 CCTV의 활용.

                 2. 웹캠과 영화 또는 비디오파일을 응용한 다수의 시청자에게 실시간 인터넷 방송

                 3. 음악파일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인터넷 실시간 음악방송.

 

[미디어인코더 9 을 이용한 실시간 방송방법] 

내용 링크 :  http://cafe.naver.com/bjphone/18335 

1. 미디어인코더9 소프트웨어를 마이크로소프트 또는 기타 자료실에서 다운 받아 설치 한다.

    네이버자료실 : http://file.naver.com/view.php?fnum=36522

 

posted by Sunny's
2009. 3. 28. 10:39 ETC

Reclaim RAM

사용자


실행중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다시 회복  (파일 등을 삭제하는 기능이 아닙니다.)
상단부분의 ▼ 을 눌러 선택하고 실행합니다. 또는 하단의 Jump To 에서도 바로 이동 가능
사용방법은 화면에서 적절한 설정을 하고 [Reclaim] 을 누르면 결과가 표시 
Close Running Programs :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종료 (하지만 MemMaid 와 ActiveSync 는 종료시키지 않으며, 종료되지 않는 어플의 경우에 강제종료시키지는 않음)

  • Free unused program memory : 프로그램에서 현재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회복함
  • Compact running program heap :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되는 메모리를 최적화함
  • Current Free Memory : 현재 여유 메모리 용량 (MB)
  • Reclaimed RAM : 회복한 메모리 용량
  • New Free Memory  : Reclaime 한 후의 현재 메모리 용량


ReclaimRAM 은 윈도우 모바일의 표준 메모리 반환 절차를 따르기 때문에 안전하게 메모리를 회복할 수 있음. 하지만 이러한 절차를 지키지 않는 일부 어플의 경우에는 메모리의 회복이 잘 되지 않음.
시작 -> 프로그램에서 ReclaimRAM 바로가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드웨어 단추에 지정해서 사용할 수 있음.
ReclaimRAM 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려면 Databases 탭의 Notification Queue 에서 직접 이벤트를 생성해주면 됨.

 

 

장치가 깨어날 때 마다 MemMaid의 Reclaim RAM 기능을 자동 실행!!

  • JumpTo>Databases>Notification Queue 화면에서 [Add..] 글자 부분을 누릅니다.
  • Program 의 [...] 에서 \Windows\시작 메뉴\프로그램에 있는 ReclaimRAM.lnk 를 선택합니다.
  • Event 를 The device woke up 으로 선택하고 Add 를 눌러주면 끝입니다. 
  • 화면 목록의 Event Based 항목에 보면 방금 생성한 이벤트항목이 표시됩니다.
  • 항목을 한번 눌러주면 정보창에 When: The device woke up, Argument: AppRunAfterWakeup (장치켜진(Wakeup) 후(After) 어플(App)실행(Run)) 이라고 표시됩니다.
  • 이제 장치의 전원을 이용해서 화면을 껏다가 켜면 자동으로 Reclaim Memory 기능이 실행되고 화면에 결과가 표시됩니다. 이러한 화면까지 표시되지 않게 하려면 해당 화면에서 Show this message again 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다음부터는 화면 가운데에 실행중 로딩표시만 잠깐 표시됩니다.
  • 이 항목을 다시 삭제하려면 해당 항목을 체크하고 [Delete] 를 누르면 됩니다.
  • QuickClean 이나 ReclaimRAM 의 바로가기가 프로그램 목록에서 삭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시 재설치하거나 직접 바로가기를 생성해야 합니다.
  • ReclaimRAM 의 경우에는 ["\Program Files\MemMaid\MemMaid.exe" -Free] 입니다. (주 장치 설치시)

     
posted by Sunny's
2009. 3. 27. 17:53 ETC
직접 해제 시키기
 bcdedit.exe/set nx AlwaysOff
 bcdedit.exe/set nx AlwaysOn


1. Open the Control Panel. (Classic View)
A) Click on the System icon.

B) Go to step 3.
OR

2. Open the Start menu.
A) Right click on Computer and click Properties.
3. Click on Advanced system settings.(in upper left green area)

4. Click on the Continue button in the UAC prompt.

5. Click on the Settings button under Performance section. (See screenshot below)
properties.jpg
6. Click on the Data Execution Prevention tab. (See screenshot below)

7. Turn DEP On for Essential Windows Vista Programs and Services Only -
NOTE: This turns on DEP for only the 32 bit system programs and services. This is the default setting.
A) Dot Turn on DEP for essential Windows programs and services only.

B) Go to step 9.
8. Turn DEP On for All Programs and Services Except for the Ones you Select -
NOTE: This turns on DEP for every 32 bit program except for the ones that you add to the list. The listed program will have DEP turned off for it.
A) Dot Turn on DEP for all programs and services except those I select.

B) Click Add to add the programs (32 bit) that you do not want to use the DEP feature.
options.jpg
C) Navigate to the program's .exe file that you want to add to the DEP exclusion list and select it, then click on Open.
browse.jpg
9. Click OK to apply. (See screenshot below step 8B)

10. Restart the computer to apply changes


posted by Sunny's
2009. 3. 22. 01:37 ETC

MP3 다운로드 사이트

 http://mp30u.com/bbs/main.php

 

posted by Sunny's
2009. 3. 17. 09:18 ETC


아이폰으로 오카리나 연주가 가능하네..;;

입김이 인식되어 손가락을 누르는 걸로 악기소리가 나오네요

smule라는 회사에서 만든 소프트인것 같습니다.

웹싸이트는 이곳

http://www.smule.com/support/index.php#ocarina




구글에서 퍼온 영상이예요 음악 좋아하는 분들에겐 재밌는 장난감이 될거 같네요!!

아이폰 우리나라는 언제 출시 될려나..ㅠㅠ
갈아타고 싶다..^^
posted by Sunny's
2009. 3. 16. 12:49 ETC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출력하기

Netstat.exe 유틸리티에는 각 연결과 관련된 프로세스 ID를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o 스위치가 Windows2003부터 지원합니다.

이 프로세스 ID 정보는 특정 포트에서 수신하는 프로세스(프로그램)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etstat -ano 명령은 다음과 같은 출력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
Proto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
TCP      0.0.0.0:80       0.0.0.0:0          Listening    888
TCP    0.0.0.0:8080           0.0.0.0:0              LISTENING       1772
TCP    0.0.0.0:8787           0.0.0.0:0              LISTENING       1772
TCP    10.0.0.20:445          10.0.0.16:2138         ESTABLISHED     4
TCP    10.0.0.20:1010         10.0.0.16:2797         ESTABLISHED     4
TCP    10.0.0.20:1010         10.0.0.16:2798         ESTABLISHED     4
TCP    10.0.0.20:1037         207.46.106.107:1863    ESTABLISHED     504
TCP    10.0.0.20:2685         220.85.13.185:80       CLOSE_WAIT      504
TCP    10.0.0.20:2686         220.85.13.186:80       CLOSE_WAIT      504

---------------------------------------------------

작업 관리자를 사용하면 나열되는 프로세스 ID를 프로세스 이름(프로그램)에 대조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특정 포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이 특정 포트를 이미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른 프로그램은 같은 포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posted by Sunny's
2009. 3. 11. 16:40 ETC
Server 2003 Printer Spooler 오류 해결법

error 1075 printer spooler is not running

Click on Vista (Start) button, and type Regedit.exe in search bar
Navigate to the following branch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Services \ Spooler*
In the right-pane, double-click the DependOnService value
Delete the existing data, and then type RPCSS
Close Regedit.exe
Restart the computer.
posted by Sunny's